5/29 (토)
.............
한토회원 50명과 함께 A코스, B코스 나누어 진행
코스 : 박정자 - 장군봉 - 삼불봉 - 갑사 - 연천봉 - 신원사 - 관음봉 - 동학사 (24km, 11시간 소요됨)
gpx 파일 :
시작할땐 2사4봉만 하려했다.
천천히 쉬엄쉬엄 계룡산을 즐기려 했는데
갑사에서 연천봉을 올라선후 힘은 들었지만,
신원사까지 체력안배만 하면 갔다올수 있을것 같았다.
raintree가 산에 살짝 미쳐있을때 (2005년쯤)
장군봉-남매탑-갑사-연천봉-자연성릉-삼불봉-큰배재코스로 2번 산행한적이 있었다.
그때 기억을 되살려 한토 산대장 회의시 2사4봉을 제안했는데...요즘 대세는 3사4봉이었는지
인터넷상에 3사4봉 관련 산행기가 보였고,
한토 운영진 회의 도중 3사4봉으로 변경되었다. - 최근 트렌드에 따라...ㅎ
장군봉을 오르는데 의외로 몸이 가볍다.
장군봉찍고 논스톱으로 신선봉까지 진행한다.
신선봉에서 후미그룹을 약 40분 정도 기다렸다.
멀리가려면 일행과 함께 움직여야할것 같아서...
장군봉-남매탑 구간은 안전시설을 잘해놓아서 산행의 재미가 반감되는것이 아쉽다.
계룡산의 내리막길들은 돌이 많아서 별로 안좋아하는데
첫 내리막길 갑사계곡은 처음부터 끝가지 거의 돌길이다.
갑사에서 식수를 보충하고 바로 연천봉에 오른다.
이곳 연천봉 오름길에서 오버페이스 했던 기억이 있어서 천천히 쉼없이 오른다.
연천봉 정상에서 점심식사를 먹고 신원사로 내려선다.
올라온 만큼 내려선다는게...부담으로 다가온다.
후미보다 1시간 먼저 출발한 산울님을 만나고,
후미보다 더 늦게 출발한 폴로님도 만난다.
신원사를 구경후 식수를 보충하고 연천봉 고개를 향해 올라간다. 좀더 천천히 오른다
신원사계곡에서 땀을 씻어내고, 탁족을 즐기며 달구어진 열을 잠시 식히고 간다.
관음봉찍고 은선폭포를 거쳐 동학사로 하산하는길....
오늘 일정을 마무리하는 구간 막바지
은선폭포를 지나면서 체력이 방전됨을 느끼고
비상식량으로 준비한 쵸코렛 몇개를 먹으며 동학사에 도착한다.
동학사아래 식당가에 도착하니 먼저 하산한 여러회원님들이 반겨준다.
가볍게 막걸리 한잔하며 긴 산행을 마무리한다
계룡산(鷄龍山)은 백두대간 중 금남정맥의 끝부분에 위치, 천황봉(846m)을 중심으로
관음봉, 연천봉, 문필봉(756m), 삼불봉 등 28개의 봉우리와
동학사계곡, 갑사계곡등 7개소의 계곡으로 형성되어 있다.
산 능선이 마치 닭의 벼슬을 쓴 용의 모습과 닮았다고 하여 그 이름이 유래되었다.
국립공원 계룡산은 8종류의 천연기념물과 3곳의 전통사찰이 위치하고 있으며,
그곳에는 국보 2점(갑사-국보 제298호 삼신불괘불탱, 신원사-국보 제299호 노사나불괘불탱),
보물 12점(갑사, 신원사, 동학사), 지방문화재 9점을 간직하고 있다.
장군봉(將軍峰, 512m)은 계룡산의 동쪽 능선 중 하나이다.
서쪽으로는 신선봉(649m), 삼불봉(777m)으로 연결되며, 남쪽에는 동학사계곡이 있다.
동쪽으로는 금강의 지류 하천 중 하나인 용수천이
골짜기를 따라 북쪽의 금강을 향해 흐르고 있다.
삼불봉(三佛峰, 777m)의 명칭은 3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진 형상이
세 부처의 모습과 닮았다 하여 붙여진 것이다.
남쪽의 천황봉과 쌀개봉에서 시작되는 계룡산의 주능선에 해당하며,
편마상 화강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삼불봉의 설화(雪花)’는 계룡8경 중 제2경이다.
갑사(甲寺)는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인 마곡사의 말사이다.
예로부터 이곳은 계룡갑사(鷄龍甲寺)·갑사(岬寺)·갑사사(甲士寺)·계룡사(鷄龍寺)라고도 하였다.
계룡산 서북쪽 기슭에 자리한 갑사는 화엄종 10대 사찰의 하나이며 5개의 암자를 거느리고 있다.
경내에는 대웅전, 사적원지인 대숙전, 천불전 등 10여 채의 건물들이 있고
부도와 당간지주, 월인석보판본 등 문화재가 있다. ‘갑사 단풍’은 계룡8경 중 제6경이다.
연천봉(連天峰, 743m)의 명칭은 하늘과 이어진 봉우리라는 뜻이다.
계룡산의 주봉인 천황봉의 북서쪽, 관음봉의 서쪽에 있으며,
갑사계곡과 신원사계곡 사이로 뻗은 계룡산 산줄기에 솟아 있다.
지질은 편마상 화강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봉우리에서 발원하는 하천은
서쪽의 계룡저수지와 남서쪽의 경천저수지를 지나 금강의 지류인 월암천에 합류한다.
산봉에 등운암(騰雲庵)이 있고, 서남쪽에는 신원사가 있다.
‘연천봉 낙조(落照)’는 계룡8경 중 제3경이다.
신원사(新元寺)는 조계종 제16교구 본사 마곡사의 말사이다.
보물 제1293호인 중악단(中嶽壇)과 비스듬히 마주하고 있다.
계룡산 동서남북 4대 사찰 중 남사에 속하며 대웅전은 충남 유형문화재 제80호,
신라 말에서 고려 초기의 석탑 양식인 5층 석탑은 충남 유형문화재 제31호로 지정됨.
관음봉(觀音峰, 766m)에서 삼불봉에 이르는 1.8㎞의 자연성릉구간은 계룡산 겨울산행의 백미이다.
자연스런 성곽의 능선 같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한사람이 겨우 지나갈 수 있는
협소한 길목이 자주 나타나 변화무쌍한 코스다.
‘관음봉 한운(閑雲)’은 계룡8경 중 제4경이다.
동학사(東鶴寺)는 마곡사(麻谷寺)의 말사로 경내에는 대웅전·무량수각·삼은각·숙모전·범종각·
동학사·동학강원 등이 있는데 동학강원은 운문사의 강원과 함께
한국의 대표적인 비구니 수련도량으로 유명하다.
가까이에 있는 오뉘탑(남매탑)에는 불사다운 전설이 얽혀 있다.
‘동학사 신록(新綠)’은 계룡8경 중 제5경이다
'산행 > 충청'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랑산-월성봉 (0) | 2021.06.27 |
---|---|
보문산 & 덕유산 자연휴양림 (0) | 2021.06.20 |
상당산성,약해산,그리고... (0) | 2021.05.08 |
보문산 (0) | 2021.04.27 |
옥천 대성산(705m) (0) | 2021.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