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TT(Over The Top)
넷플릭스 유튜브 디즈니등을 부르는말
그런데 의미가 잘와닿지않는 생소한 단어의 조합이라서 인터넷을 찾아봤다.
자세한 설명이 나온다.
굳이 기억할 필요가 있을까 라고 생각하다가 문득 드는생각
요즘 학생들은 굳이 애써서 공부할 필요가 있을까?
검색하면 실시간으로 다 나오는세상인데....
그러다가 드는 또다른 생각은 법관이 필요할까?
증거가 명확한 범죄라면 컴퓨터가 형량을 정하면 될것같은데....
그러다가 AI 까지 확대되면서 혼란스러워 뇌를 잠시 정지시킨다
앞으로 어떤 세상이 펼쳐질지 가늠이 안된다. 대충살자
............
무더운 여름을 잊기위해 넷플릭스에서 지나간 영화 타짜를 다시한번 봤다.
참 잘만든 영화다.
===================================
OTT(Over The Top)는 기존 통신과 방송사가 아닌 새로운 사업자가 인터넷으로 드라마나 영화 등 다양한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정해진 방송 전용망으로 콘텐츠를 전송하던 기존의 방송 서비스와 달리 OTT는 불특정 다수의 접근이 용이한 범용 인터넷으로 콘텐츠를 전송하기에 이용 시간이 자유롭고 스마트폰과 태블릿PC 등 다양한 기기에서 원하는 프로그램을 볼 수 있다. OTT 서비스는 기존 방송의 일회성·단방향성에서 벗어나 소비자가 원하는 영화나 TV 프로그램 등 동영상 콘텐츠를 온디맨드(On-Demand) 방식으로 제공하기 때문에 소비자 중심 서비스라 할 수 있다. 현재 전 세계 OTT 서비스 시장은 미국이 주도하고 있는데, 넷플릭스와 아마존, 유튜브 등이 대표적인 OTT다.1)
그런데 왜 하필 그런 서비스를 OTT라고 부르게 된 걸까? 서기만은 “여기서 Top이란 바로 TV에 연결되는 셋톱박스(Set topbox)를 말한다. 즉 OTT란 셋톱박스를 통해 TV로 동영상을 볼 수 있게 해주는 일종의 방송 서비스다”며 다음과 같이 말한다.
“그러나 단지 그것만이라면 셋톱박스를 이용하는 다른 방송 서비스, 예를 들어 케이블 TV나 위성 방송도 다 OTT라고 불리어야 할 것이다. OTT와 기존의 다른 방송 서비스가 다른 것은 셋톱박스의 유무가 아니라 방송 네트워크를 통하지 않고 그 대신 인터넷을 이용한다는 부분, 그리고 서비스 제공업자가 기존의 방송사가 아니라 제3의 사업자, 제도권 바깥에서 등장한 방송 사업자라는 부분이다. 원래의 뜻은 그랬지만, 현재 OTT라는 단어는 좀더 넓은 의미로 이용된다. 굳이 셋톱박스를 이용하지 않아도, TV 대신 PC나 핸드폰을 단말로 이용해도, 심지어 기존의 통신사나 방송사가 추가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목적으로 이용할 경우에도 그것이 인터넷 기반의 동영상 서비스라면 모두 OTT의 한 형태라는 식으로 쓰이고 있다.”2)
'개인자료 > 일상다반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 DMZ 자유.평화 대장정 참가신청 (6) | 2023.09.06 |
---|---|
카페 목수정 (0) | 2023.08.19 |
라벨 볼레로(Ravel Boléro) (0) | 2023.08.05 |
대청호 로하스캠핑장 2박3일 (0) | 2023.07.22 |
대청호로하스 캠핑장 주변산책 (8) | 2023.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