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자삼변(君子三變) - <論語>
(좋은 글)-퍼옴-
군자삼변(君子三變) - <論語>
“세 번 변하는 사람이 진정한 군자”
사람을 평가하는 것을 품인(品人)이라고 합니다.
品人, 즉 사람을 평가할 때는 어떤 것을 기준으로 삼을 것인가가 무엇보다도 중요합니다.
그 기준에 따라 전혀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
엄격한 사람, 따듯한 사람, 논리적인 사람 등 세상에는 정말 다양한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 다양한 사람의 유형 중에 어떤 사람이 가장 나은 사람이냐는 질문은
참으로 어리석은 질문이 아닐 수 없습니다.
그런데 그런 우문(愚問)에 현답(賢答)을 내놓은 사람이 있습니다. 바로 孔子입니다.
孔子는 <論語>에서 엄숙함, 따뜻함, 그리고 논리력을 모두 갖춘 사람을 三變이라고 합니다.
그러니까 세 가지 서로 다른 모습을 그 사람에게서 찾을 수 있다는 뜻이지요.
일변(一變)은 멀리서 바라보면 엄숙함을 느낄 수 있는 사람입니다.
이변(二變 )은 멀리서 보면 엄숙한 사람인데 가까이 다가가서 보면 따듯함이 느껴지는 사람,
엄숙하지만 또 다른 모습으로 겉은 엄숙하지만 가까이 다가가면 속은 따뜻한 사람입니다.
삼변(三變)은 그 사람의 말을 들어보면 정확한 논리가 서 있는 사람입니다.
종합하면 외면의 엄숙함과 내면의 따뜻함에 논리적인 언행까지 더해져 이른바 최상의 사람이라는 뜻입니다.
망지엄연(望之儼然) : 멀리서 바라보면 엄숙한 사람,
즉지야온(卽之也溫) : 가까이 다가가면 따뜻한 사람,
청기언야려(聽其言也厲) : 말을 들어보면 합리적인 사람
‘군자삼변(君子三變), 군자는 세 가지 서로 다른 모습의 변화가 있어야 한다.
’ 멀리서 보면 의젓한 모습, 가까이 대하면 대할수록 느껴지는 따뜻한 인간미,
그 사람의 말을 들어보면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언행, 일면 인간품평의 최고 단계, 군자 삼변입니다.
“나는 한 가지 모습으로만 기억되는 사람이 아닐까요?”